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(database transaction)

1) 정의 : 한꺼번에 수행되어야 할 최소 작업 단위.

2) 특징 : InnoDB Engine만 지원. autocommit는 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있음.

database engine

1) 정의 : DBMS가 테이블에 대해 데이터 CRUD작업 진행시 사용하는 기본 소프트웨어.

2) 특징 : Table단위로 설정 가능. 스토리지 엔진에 따라 테이블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이 달라짐.

3) 종류 : 트랜젝션 지원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뉨.

            InnoDB : 트랜젝션 지원 O, 동시처리가 많은 환경에 적합

            MyISAM : 트랜젝션 지원 X. 읽기 위주의 요청에 유리.

 

[데이터조작어]

개념 : Data Manipulation Language. 데이터의 생성, 삭제, 수정, 조회

종류 : insert, delete, update, select

 

 

 

 

+)

 

 

[데이터정의어]

개념 : Date Definition Language. 개체의 생성, 삭제, 수정, 초기화. 

종류 : create, drop, alter, truncate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modify와 change의 차이점

modify : 컬럼 안의 내용을 수정

change : 컬럼의 이름을 변경하면서 동시에 컬럼 안의 내용을 수정.

 

 

 

 

확인

show databases;

use [확인할 database의 이름]

desc [확인할 테이블의 이름]

 

 

 

 

 

 

> mysql 상태에서.

 

목록 조회

데이터베이스  : show databases;

테이블 : use [해당 테이블이 속한 데이터베이스]

           show tables;

 

선택 명령어

데이터베이스 : use [선택할 database의 이름]

 

mysql로 파일 이동

바탕화면에 해당 파일이 있는 경우,

이동 : mv /root/바탕화면/[파일].sql /root/

        mysql < [파일].sql

확인 : show databases;

        desc [테이블이름]

 

 

show 문법 : 명령어 끝에 ; 필수.

use 문법 : 명령어 끝에 ;를 안붙여도 OK.

 

 

 

메타문자

% : 글자수 제한 X

_ : 글자수 제한 O

SQL : DBMS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혹은 언어. Structured Query Language.

MySQL : 오픈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.

 

설치.

yum -y install mysql-server

 

실행.

service mysqld start

chkconfig mysqld on

 

확인.

netstat - antup | grep 3306

netstat -antup | grep mysqld

service mysqld status 

 

접속.

mysql

mysql -u [계정명] -p

1. 정의

데이터베이스 :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

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: 컴퓨터에 수록한 자료들을 쉽고 빠르게 추가, 수정, 삭제 등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.

 

2. 데이터베이스 분류

1) 형태에 따라.

계층형 : 데이터가 트리 형태의 구조로 조직된 것. 부모-자식 관계(1:N)

네트워크형 : 주요 데이터마다 하나의 파일이 만들어져 있고 이들 각 데이터는 레코드 내의 포인터를 통해 다른 파일의 레코드를 가리키도록 서로 연결. Owner-Member 관계(1:1, 1:N, N:M)

 

2) 관계에 따라.

관계형 : relational data base. 관계형 모델(relational model)에 따라 키(key)와 값(value)을 표(table) 형태로 구성 데이터베이스.

비관계형 : 표 형태 외의,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.

 

 

 

 

+ Recent posts